Vue-cli 프로젝트를 만들 때 ESLint 옵션standard로 설정하고 생성하였다. 

그런데 순조롭게 코드를 작성하고 있던 와중, 딱히 코드 자체에 문제가 없어보이는데 저런 에러가 출력되면서 --fix만 사용하란다. 

 

■ 해결방법

npm run --fix

2022.12.12. 수정
 - npm run lint -- --fix 로 해야지 됩니다. 
위의 코드는 제가 script에 해당 내용을 미리 작성해서 되는것이었습니다. 참고바랍니다.

npm run lint -- --fix

 

해당 명령어를 bash에서 입력했을 때 

 

순조롭게 되었다.

예전에는 이게 뭐야? ㅡㅡ 하면서 지나갔던 내용인데 뭔가 오기가 생긴건지 결벽증이 생긴건지 이런 것 하나하나 신경쓰게 되었다.

 

 

 

potentially fixable with the `--fix` option

I am creating a app with nuxt.js but everytime I launch the app, gives me the error of eslint and saying "potentially fixable with the --fix option." I did the command npm run lint -- --fix and it...

stackoverflow.com

 

반응형

웹소켓에 대해 외부접속도 가능하게 하려고 그간 많은 노력을 했으나 번번이 실패하여 어느덧 3주-4주의 시간이 흘렀다.

로컬 환경에서는 여러 번 성공하였으나 외부접속 부분에서 계속 실패. 방향을 바꿔버렸다.

 

`그냥 로컬로 돌리자`

 

간단한 서버가 될 코드 내용이다. index.js 등으로 구현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app);
const { Server } = require("socket.io");
const io = new Server(server, {
  cors: { origin: "*"  }
});

app.get('/', (req, res) => {
  res.sendFile(__dirname + '/index.html');
});

io.on('connection', (socket) => {
  console.log('a user connected');
});

server.listen(3000, () => {
  console.log('listening on *:3000');
});
// websocket으로 데이터 받아오기
const socket = io('ws://localhost:3000');

io.on('connection', (socket) => {
  console.log('a user connected');
});

나를 괴롭혔던 몇 가지의 문제들이 있었다.

1. Port 처리
2. CORS (Access-Control-Allow-Origin) 에러
3. REST API

 

첫째로 포트 문제였다.

공인 아이피로 접속해야하는데 자꾸 접속이 안됐었다. 서버를 돌려도 안되었고, 등등..
원인은 포트포워딩이었다. 과거에 서버를 설치하는데 내가 직접 건들지 않았던 부분이었기 때문에 신경 자체를 쓰지 못했다.

내 능력부족일 뿐,, ㅠㅠ

그리고 이번 기회로 네트워크 단의 공부를 잘 하게 되었다. 어떤 식으로 흘러가는지 대충 알았던 모습을 그림도 그려가면서 공부하며 이해를 할 수 있었다. ㅂㄷㅂㄷ.. 시간 잡아먹은거 생각하면 치가 떨림.

두 번째로 CORS 에러.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가장 자주 보고 친숙한 에러 중의 하나라고 하는데, 이해가 된다. 
걸핏하면 CORS에러에요~ 뿌잉뿌잉하면서 빨간 글씨로 나타나는 녀석이다.

서버에서 분명히 아래와 같이 주었는데도, 계속 에러나고 ㅋㅋㅋ 열받아 죽겠다.

cors: {  origin: "*"  }

ORIGIN * 는 함부로 주면 안된다.

그래도 어느정도 해결해서 다행이다. 전체적인 프로세스도 잘 알았고, 역시 부딪히는만큼 알게 되는 법

마지막으로 REST API 이다.

그래도 위의 두 녀석보다는 훨씬 애를 덜 먹였다. 왜냐하면 기존에도 자주 사용하는 방식이었기 때문. 
RESTFUL API 환경구성을 하기 위해 프론트와 백을 일부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기존에는 Legacy였기 때문에 코드를 직접 보기 너무나도 끔찍하여 토할 것 같았으나, PHP를 백으로 놓고 데이터만 내뱉게 만들어놓고, Javascript로 나머지를 충당했다. 쓴 라이브러리 등은 ajax를 처음에는 사용하였으나, vue.js를 공부하면서 axios에 대해 알게되었고, 이제는 axios위주로 사용한다. 
axios에 대해서는 과거에 작성한 내용을 참고 바랍니다.

 

[ React.js ] Axios 사용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리액트에서 Axios 요청을 사용하는 방법(chart ... etc)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npm install axios react-chartjs-2 --save 터미널에 복사 붙여넣기 해주시면 됩니다. Axios는 js의 A..

code-hoon.tistory.com

 

[ Vue.js ] Axios 사용하는 방법 / json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Vue.js 에서 Axios를 사용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예제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동기 통신 방법으로는 Axios와 Ajax 등이 있는데, 이 중 Axios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생

code-hoon.tistory.com

 

 

 

 

반응형

 

윈도우 -> 윈도우  |  Linux -> 윈도우 등등의 환경에서 


윈도우에 ssh를 이용해(Visual Studio Code, vscode) 를 이용해 접속하였을 때 npm 명령어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오늘겪음)

윈도우 bash: node: command not found

한참을 왜 안되지?? 계속 뒤져보고 명령어 쳐봐도 안되는겁니다.

그래서 더 찾아본 결과

그냥 껐다 켰다. (제일 어이없던 부분)

 

■ 이유

vscode를 ssh로 접속해서 켰을 때의 시점보다 node 모듈들을 설치한 시점이 더 빠를경우,
vscode에서 node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vscode를 재실행하라는 말도 있는데, 속편하게 윈도우 자체를 리부트하였다.

 

반응형

사용환경: Linux(Ubuntu, CentOS), Apache, Node.js, Express, socket.io, php, etc...

 

Node.js를 통해 express를 돌리던 와중 에러가 발생

"NodeJS address already in use"

 

port를 이미 사용하고 있다고 에러문구가 출력되었다.

 

■ Node.js를 사용하던 와중에 서버를 강제로 종료하거나 예기치 않게 종료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고 한다.

 

 

■ 해결방법

1. 포트가 이미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

lsof -i TCP:3000

를 통해서 현재 사용중인 3000포트를 확인.

 

사용 중인 모든 포트를 종료 시키기.

 

kill -9  'PID'

 

PID번호를 입력시켜 해당 PID를 모두 종료시킨다.

 

종료시키고 확인해보면 깔끔하게 다 종료된다.

 

 

그리고 다시 서버 시작

 

node index.js

 

 

 

 

NodeJS address already in use 문제 해결 - JooTC

NodeJS address already in use 문제 해결 방법 Error: listen EADDRINUSE: address already in use :::5000 현재 다른 프로세스에서 사용 중이라 해당 서비스를 시작할 수 없다는 에러입니다.

jootc.com

 

반응형

 

SSHLINUX 혹은 다른 IP에 접속해서 VSCode로 내부 파일을 수정하려고 하는데 저장할 때에 에러가 발생.

해결방법은 해당 파일이나 폴더 등에 계정에 대한 권한을 할당하는 것이다.

## /var/www/html/example/ 경로일 때
sudo chown -R  계정명  경로명

이렇게 적용하면 바로 저장 혹은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var/www/html/example/  라는 폴더 내부의 파일들을 모두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주고 싶을 때,

## 현재 내가 있는 위치 :  /var/www/html/
sudo chown -R  username ./example

하면 우측하단에 에러 알림이 왔던 내용이 사라지고 저장 혹은 수정할 수 있게된다.

 

 

참고

https://pinkwink.kr/1343

 

VSCODE로 SSH로 접근해서 편집 파일을 저장할때 permission 문제

예전에 저는 VSCODE를 이용해서 SSH로 젯슨 나노나 라즈베리파이에 접근하는 방법을 이야기했었는데요. 그렇게 쓰다보면 아주 가끔 권한 문제로 파일을 저장할 수 없다는 에러가 날 수 있습니다.

pinkwink.kr

 

반응형

■ 환경 및 툴

→ Linux(Ubuntu), Apache, Nodejs, socket.io, javascript, html, css, vscode

 

■ 특이점 

→ 외부 접속을 허용하였는데, 해당 서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

Apache + Node.js + Express 를 통해 3000포트 접속을 허용하고 웹서버를 띄웠다.

 

이 때 외부 IP를 입력해서 들어간 경우에는 안되었고, vscode에서 웹브라우저를 띄웠을 때 및 localhost:3000 로 접속하였을 때는 동작하였다.

localhost를 통해 접속하였을 땐 동작 / 성공 CONSOLE

외부 아이피 주소 112.~ 로 접속하였을 때는 실패하였다. CORS 오류나면서.

 

아무래도 이전 포스팅과 연결되는 말인 것 같지만,

 

처음 이 현상을 발견하게 된 것이 VSCODE에서 뇌가 하얗게 되어 무지성으로 클릭하다가 우연찮게 발견하여 클릭하고 발견한 웹 브라우저 띄우기. 

cors 오류 반환.

예전에도 localhost 환경에서 axios를 사용할 때 해당하는 CORS 오류가 출력되었는데, 이 때 비슷한 에러가 출력되었던 것도 같다.

즉, 내부포트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에서 왜 굳이 외부포트로 접속하냐 이런 느낌.

실패 사진

 

 

 

 

[ Socket.io ] 웹소켓을 이용해 데이터 전달 방식의 사고 및 결정

지난 3주동안 업무 중에 웹소켓 구현에 대해 공부하고, 해당 내용을 구현할 방법을 구상하였다. ■ 서버를 통한 외부 접속 방식 -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 송출, - 서버에서 (외부 접속을

code-hoon.tistory.com

 

반응형

 

지난 3주동안 업무 중에 웹소켓 구현에 대해 공부하고, 해당 내용을 구현할 방법을 구상하였다.

 

■ 서버를 통한 외부 접속 방식

 

  -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 송출,
  - 서버에서 (외부 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로직을 처리.
  - 데이터베이스 저장(할 필요가 없는데도).
  - 서버에서 웹소켓을 통해 데이터 송출
  - 키오스크에서 데이터 수신

이렇게 진행하려고 하였다.

 

■ 에러 사항

1. 웹소켓에 대한 지식이 전무.

2. 실제 예제 연습 중에 윈도우에서는 처리가 되었지만, 리눅스 서버에서 예제를 똑같이 구현해도 같은 결과가 발생하지 않음

  → 리눅스(Ubuntu)에서 Apache 웹 서버를 띄운 상태에서의 추가적인 제약사항. (해결완료)
  → 외부접속을 통해 처리해야하는데 내부접속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점. (해결못함) 

 

■ 방향의 전환

- 아마 소장님께서 지나가듯이 말씀하셨었다. 
'만약 구현이 제대로 안되는 것 같으면 그냥 윈도우에서 돌리면 어때?  어차피 윈도우 통해서 데이터 받아들이니까.'
이 말씀을 그때는 정신이 팔려서 잘 안들렸지만, 혼자 끙끙대면서 구현해보고, 구상하다보니 마침내 도달한 결론이 되었다...
머쓱.

그래서 기존에는 그림과 같이 카메라→NUC→서버→NUC→키오스크 였는데, 
카메라→NUC→키오스크로 변경하려고 한다. (실제로는 아직 안해봄)
구현 가능성이 넘쳐보이니 일단 시도하려고 한다.

 

 

1단계가 끝나면 그림2와 같이 2단계도 진행하고, 마지막 3단계도 준비되어 있다. 

#WEBSOCKET #SOCKET.IO 

반응형

 

nodejs로 서버를 구성하고, socket.io 를 통해서 웹소켓을 구성하려고하는데 해당 에러가 발생하였다.

 

node.js TypeError: path must be absolute or specify root to res.sendFile [failed to parse JSON]

이유인즉슨, result.sendFile( ) 에서 [절대 경로 설정 or Root 경로 설정] 을 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라고 stackoverflow에서 말함)

 

그래서 해결방법은 간단하다.

__dirname 을 추가해주면 된다. -> 요청한 경로를 따라옴

app.get('/', function(req, res){
        res.sendFile(__dirname + '/index.html');
        });

 

일단 그래서 해당 에러는 해결이 되었다.

 

 

 

 

node.js TypeError: path must be absolute or specify root to res.sendFile [failed to parse JSON]

[add] So my next problem is that when i try adding a new dependence (npm install --save socket.io). The JSON file is also valid. I get this error: Failed to parse json npm ERR! Unexpected string n...

stackoverflow.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