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Spring / Thymeleaf ] 타임리프 | | 문법 간단하게 알아보기
SangHoonE
2024. 1. 17. 09:04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지난 번에는 text 와 utext 에 관해서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Spring / Thymeleaf ] 타임리프 : text, utext 가 무슨 차이인데?
[글작성일자: 2024.01.16]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이번에 프로젝트를 통해 타임리프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생각보다 신기하고 간단하더라구요. 하나씩 공부하는 입장으로서 작성중에 있습니다. 1.
code-hoon.tistory.com
1. 그래서, | | 이 뭔데?
이번에는 | | : literal substitution 에 대해 간단하게 작성하려고합니다.
해당 문법은 JavaScript 를 아시는 분이라면 유명한 template literal 라고 생각하시면 편한데요,
바로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Java
model.addAttribute("name", name);
//HTML
<p th:text="|The Name is ${name}|"></p>
해서 값을 받아와 출력을 하면,
requestParam으로 받아온 값이 위 사진과 같이 출력이 됩니다.
주요한 기능으로는 안의 문자열을 조합하여 한번에 출력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또 다른 예시)
<p th:text="|My Name is ${name}, and his name if ${name2}. Also her name is ${name3}|"></p>
이런식으로도 작성이 가능하겠네요.
자바스크립트로는 백택(`) 을 사용하여 ${변수명} 으로 사용하는 템플릿 리터럴(Template Literal)과 동일하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