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번 클릭해주세요.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 목표

Nuxt.js 3 - Vue.js3 에서 routing 하기 (페이지 전환)

 

✔ 환경

Nuxt.js3, Vue.js3

 

✔ 하는방법(결론) - 결론부터 말하기

// app.vue
<template>
  <div>
    <div class="header-area">
      <NuxtLink to="/">Main</NuxtLink>
      <NuxtLink to="/login">Login</NuxtLink> 
      <NuxtLink to="/register">Register</NuxtLink>
    </div>
    <NuxtPage />
  </div>
</template>

/app.vue (루트 경로) 에서 NuxtLinkNuxtPage를 사용하기.

 

// /pages/index.vue
<template>
  <div>
    this is index view from pages
  </div>
</template>

/pages/index.vue 라는 파일이 있을 때 app.vue의 NuxtPage 가 /pages/index.vue 가 되는 것 입니다.

root 경로 확인

 

 

✔ Vue.js3 와 Nuxt.js 의 차이점

일반 Vue 프로젝트에서는 

1) main.js - route 사용 선언
2) App.vue - RouteLink, RouteView 로 작성

반면에 Nuxt 에서는 조금 다르더라구요.

처음에는 NuxtPage 말고  Nuxt  태그만 작성했다가 페이지 출력이 되지 않아서 왜 자꾸 안되지??? (여러 기술 블로그를 염탐했을 때) 하다가,
아래의 Nuxt.js3 강의를 올려주신 익숙하신 Vue 유튜버 링크(맨 아래 링크 첨부)에 들어가 빠르게 감아서 NuxtLink 부분만 보고 고치게되었습니다.

 

✔ 조금 더 나아가기 🚀

그렇다면 /pages/directory/directory/... 이런식으로 하위 폴더가 있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지 잠깐 생각해보았고,

Nuxt 프로젝트 특유의 경로 자동 감지를 생각하게 되어, 간단하게 구현하였습니다.

/pages/inside/insidePage.vue
/app.vue

이렇게 슬래쉬로 하위 디렉터리 구분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마치며 

왜 이런 간단한 것 하나조차 Vue.js 프로젝트와 달라서 이렇게 애를 먹이는 것인지,,,
하나씩 그래서 설정하고 확인하고... 라우팅까지 신경쓰면서 살고 있네요.
기존에는 1분 걸릴게 Nuxt로 하니 10분도 넘게 찾고 있었네요.

어제는 프로젝트 만들고 띄우지도 못해서ㅋㅋㅋㅋ 지웠다가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하고 난리였습니다.

 

친숙한 얼굴의 형님. (어두운 밤에 보면 무서운 상)

 

이상입니다.

 

반응형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Vue.js 3 + Vue Router 를 사용하여 페이지를 넘기고 params에 원하는 값을 전달하는 경우를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List 화면. Title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객체를 가지고 상세페이지로 이동하도록 설정

 

이렇게 컨텐츠 한개가 객체(Object)로 적용하겠습니다.

item : {
	title: 'asdasdasdas',
	content: 'asgasfasf',
	date: new Date()
}

이런식으로 객체는 구성되어있습니다.

string만 데이터를 전달하는것과 거의 동일합니다.

 

1. 데이터를 전달할 Vue파일

//List.vue
<template>
<div v-for="(item, index) in itemList" class="w-full flex">
        <div class="w-8 h-7">{{ index++ }}</div>
        <div class="flex-1" @click="moveToDetail(item)">{{ item.title }}</div>
        <div class="w-32 h-7">{{ item.date }}</div>
</div>
</template>

<script>
...
 methods: {
    moveToDetail(item) {
      this.$router.push({
        name: "ContentDetail",
        params: { item: JSON.stringify(item) },
      });
    },
  },
 ...
 </script>

title을 클릭하면 item 객체를 전달하는 것으로 선언하였습니다.

저기서 item 객체를 문자화 하였는데요.
이유인즉슨, 파라미터를 넘겨줄 때 그냥 넘기게되면 이도저도 안되는 [Object object] 가 넘어옵니다. 
그래서 stringify로 문자화한 후에 내용을 넘깁니다.

 

2. route.js (/route/index.js) -브릿지 역할

 //routes
 
 {
    path: "/ContentDetail/:item",
    name: "ContentDetail",
    component: () => import("../components/Contents/ContentDetail.vue"),
    props: true,
  },
1. path 속성에 :item이라는 key의 이름으로 값을 전달할 것을 지정.
2. props: true  > props를 true로 설정하여 props를 전달할 수 있게 설정하였습니다.

 

3. 전달받을 Vue 파일

<template>
<div>
      <div"> Title: {{ paramObj.title }} </div>
      <div> Content: {{ paramObj.content }} </div>
      <div> date: {{ paramObj.date }} </div>
</div>
</template>

<script>
...

props: {
    item: {
      type: String,
      default: "",
    },
  },
  data() {
    return {
      paramObj: {},
    };
  },
  mounted() {
    this.paramObj = JSON.parse(this.$route.params.item);
  },
 
 ...
</script>
1.props로 params를 전달받을 것을 명시
2. item 키를 가진 문자를 받아올 것으로 명시 (JSON.parse를 통해 객체화 실시예정)
3. item 객체를 할당할 ref 선언(data)
4. 컴포넌트가 마운트 완료되고, params 로 받아온 객체를 할당.

 

 

List > Detail 화면
querystring 내용

 

짧지만 긴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번 클릭해주세요.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이라는 책의 21강에서 사용되는 koa-router는 현재의 리액트 버전(17)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설치방법

npm i koa-tree-router

 

사용 방법

const Koa = require("koa");
const Router = require("koa-tree-router");

const app = new Koa();
const router = new Router();
router.get("/", function(ctx) {
  ctx.body = "hello, world";
});

app.use(router.routes());

app.listen(8080);
// 혹은
app.listen(8000, () => {
  console.log('listening...8000...');
})

기존의 사용방식은 일치하고, 다른점은 하단의 app.use 부분입니다.

allowedMethods() 와 같은 긴 코드가 사라지고 위와같이 깔금한 내용만 남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번 클릭해주세요.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koa-tree-router

A high performance koa router. Latest version: 0.10.1, last published: 11 days ago. Start using koa-tree-router in your project by running `npm i koa-tree-router`. There are 7 other projects in the npm registry using koa-tree-router.

www.npmjs.com

 

반응형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React.js 를 사용하던 와중 history를 사용하려고하는데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export 'useHistory' (imported as 'useHistory') was not found in 'react-router-dom' (possible exports:

내용은 'useHistory' 라는 함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리액트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또 사용되지 않는 내용인데요,

이전 내용

이렇게 사용하던 내용들이 이제는  아래와 같이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더욱 간결한 함수의 등장으로 이제는 useHistory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상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번 클릭해주세요.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참고

 

Attempted import error: 'useHistory' is not exported from 'react-router-dom'

useHistory giving this error: Failed to compile ./src/pages/UserForm/_UserForm.js Attempted import error: 'useHistory' is not exported from 'react-router-dom'. This error occurred during the build...

stackoverflow.com

 

반응형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React.js 에서 Route를 사용하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Uncaught Error: [Searchpage] is not a <Route> component. All component children of <Routes> must be a <Route> or <React.Fragment>

 

내용인 즉슨, Routes 컴포넌트 내에는 자식 요소로 Route 혹은 React.Fragment 만 들어갈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코드를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변경 전
변경 후

자세히 확인해보시면,

Route 컴포넌트 내에 element라는 속성을 삽입하여 그 속에 객체로 원하는 컴포넌트들을 삽입하였습니다.

 

 

이상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번 클릭해주세요.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React.js 에서 Switch 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ERROR in ./src/App.js 20:37-43 export 'Switch' (imported as 'Switch') was not found in 'react-router-dom' (possible exports: BrowserRouter, HashRouter, Link, MemoryRouter, NavLink, Navigate, NavigationType, Outlet, Route, Router, Routes, UNSAFE_LocationContext, UNSAFE_NavigationContext, UNSAFE_RouteContext, createPath, createRoutesFromChildren, createSearchParams, generatePath, matchPath, matchRoutes, parsePath, renderMatches, resolvePath, unstable_HistoryRouter, useHref, useInRouterContext, useLinkClickHandler, useLocation, useMatch, useNavigate, useNavigationType, useOutlet, useOutletContext, useParams, useResolvedPath, useRoutes, useSearchParams) 

에러의 원인은 React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Switch Routes 로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사용 방법은 똑같으니, Switch로 작성하셨던 부분을 Routes로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Switch => Routes

import { BrowserRouter as Router, Routes, Route } from "react-router-dom";

react-router-dom 의 기능에서도 Switch 대신에 Routes를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이상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번 클릭해주세요.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사용환경 : Vue.js 2, vue-cli, vue-Router 사용

 

router-link + binding 를 통해 해당 내용을 전달해준다.

<router-link :to="'/detail/'+123453" >

여기서 `123453` 이 전달하고자하는 변수가 될 수도 있다.


 

1. Home.vue

<template>
// 각각의 id를 가진 리스트를 v-for로 출력.
<div class="movie" v-for="movie in movies" :key="movie.imdbID">
	<router-link :to="'/movie/' + movie.imdbID" />
    	// router-link를 통해 반복문을 통해 출력된 movie 객체의 id값을 전달하고자 한다.

</template>

 

2. Index.js (router)

  {
    path: '/movie/:id',
    name: 'Movie Detail',
    component: MovieDetail
  }

: 바인딩을 통해 id값을 전달할것이라고 선언한다.

 

3. MovieDetail.vue

2가지 방법으로 출력이 가능하다.

  1. html 요소에 바로 텍스트만 출력
  2. script 내에서 추가 가공 후 또다른 전체 데이터를 출력

  1. html 요소에 출력

  html 요소에 출력하는 것은 간단하다.

<template>
	<div> {{ $route.params.id }} </div>
</template>

이렇게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2. script 내에서 가공 (후 또 다른 전체 데이터를 출력)

  위에서 $route를 바로 사용하던데에 반해 이번에는 vue의 useRoute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

 

import { useRoute } from 'vue-router'

export default {
  setup () {
    const route = useRoute()
    const paramsValue = route.params.id  
  }
}

이렇게 paramsValue로 변수를 선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Vue.js 에서 라우팅을 정리해볼까합니다. 

 

Route, Routing...  Laravel 에서는 web.php가 그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Front Framework 부분에서 그 내용을 처리하는 것이 더 옳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vue-route에도 신경을 써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진짜 정말 ? ? ? 하는 순간에 파일이 휙휙 지나가고 내가 한 게 이게 무엇인가...나는 감자다 이랬는데 여러 번 반복하여 자료를 살펴보고 직접 세팅을 해보았으며 정리를 해보니 대략적인 감을 잡았습니다.

Vue.js 3 에서는 아직 적용해보지 않았고, 현재는 Vue.js 2 만 적용해본 상태입니다.

기본 구성은 이렇습니다.

기본 구성은 위와 같습니다. 

0. Vue project설치하고, vue-router를 설치합니다.

$ vue create '프로젝트명'
$ npm i -S vue-router
$ npm install 

1. router/index.js 생성
2. views/...  : vue 파일들 생성
3. main.js 수정
4. App.vue 수정

이렇게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1. router/index.js 생성

router 폴더와 그 안에 index.js를 생성하겠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작성해줍니다.

import Vue from 'vue'
import VueRouter from 'vue-router'
import FirstPage from '@/views/first-page.vue'
import SecondPage from '@/views/second-page.vue'
import MainPage from '@/views/main-page.vue'

Vue.use(VueRouter)

const routes = [
        {
            path: '/', name: 'MainPage', component: MainPage
        },
        {
            path: '/FirstPage', name: 'FirstPage', component: FirstPage
        },
        {
            path: '/SecondPage', name: 'SecondPage', component: SecondPage
        },
    ]

const router = new VueRouter({
    mode: 'history',
    routes
})
export default router

vue route 관련한 내용을 import.

VueRouter를 사용한다고 선언.

routes의 경로를 직접 지정 저장. => Web.php가 하는 라우팅 역할

router를 출력(?) 내보내기(?) 느낌 실행


2. views/...  : vue 파일들 생성

views라는 폴더를 생성해주시고, 그 안에 해당되는 .vue파일들을 생성해줍니다.

3개의 .vue 파일을 router 이름과 동일하게 생성

 

여기서 잘 보시면 파일제목 <-> route 했던부분의 이름이 다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 snake-casecamel-case를 지원하는 것인데요, 이에 대해서는 아시리라 생각하고 넘어가겠습니다.


3. main.js 수정

main.js

기존에 src/main.js 에 있던 파일을 살짝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Vue from 'vue'
import App from './App.vue'
import router from './router'

Vue.config.productionTip = false

new Vue({
  router,
  render: h => h(App),
}).$mount('#app')

변경된 부분은

1. import router from './router'
2. Vue 객체 내에 router 선언 
입니다.

이 곳에서 router를 호출하게 되고, app을 렌더링 시켜줍니다.


4. App.vue 수정

마지막으로 App.vue 수정입니다. 이곳에서는 쓸데없는 기존의 부분들을 모두 걷어내주고,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template>
  <div id="app">
    <h1>Router Start</h1>
    <router-link to="/">Main Page</router-link> |
    <router-link to="/FirstPage">First Page</router-link> |
    <router-link to="/SecondPage">Second Page</router-link>
    <router-view />
  </div>
</template>

<script>

export default {
  name: 'App',
}
</script>

<style>
#app {
  font-family: Avenir, Helvetica, Arial, sans-serif;
  -webkit-font-smoothing: antialiased;
  -moz-osx-font-smoothing: grayscale;
  text-align: center;
  color: #2c3e50;
  margin-top: 60px;
}
</style>

<router-link> </router-link>
<router-view />

두 가지만 잘 알고 있으면 됩니다. 나머지는 없애도 됩니다.

<router-link to="경로"> a 태그 라고 생각하세요 </router-link>

router link a 태그와 생김새가 동일합니다. 해당 태그를 클릭하면 (1)의 index.js에 의해 routing되어 해당되는 경로로 이동합니다. 

router-view 는 해당되는 view출력해줍니다. 대신 contents만 갈아끼워준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 F12 개발자모드 ] 를 켜서 확인해주시면 <div id="app"> 내의 태그들 reload 되기 때문입니다.

 

이제  $ npm run serve 를 통해 서버를 띄워주시면 아래의 결과가 나옵니다.

라우팅 어려운것,,,,

 

위의 내용 중에 오류잘못 서술한 부분이 있다면

코멘트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뷰 초보자이지만 천천히 꾸준히 나아가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정리한 전체적인 흐름입니다.

 

 

 

강의는 짐코더님의 Vuetify 강좌 중에서 반복적으로 연습해보았습니다.

 

 

동적 라우트 매칭 | Vue Router

동적 라우트 매칭 주어진 패턴을 가진 라우트를 동일한 컴포넌트에 매핑해야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든 사용자에 대해 동일한 레이아웃을 가지지만 하지만 다른 사용자 ID로 렌

router.vuejs.org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