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10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하겠다. (Mac 은 맨 아래에 링크를 첨부해놓았으니 해당 내용 확인바랍니다.)

 

지난번에 회사동료가 이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 것을 보았었다.

그때는 해결못하고 git-repository에서 다시 새로 다운로드하여 진행하였는데, 현재 새로운 노트북에서 해당 에러를 직면하게되었다.

에러 문구

Permission to --/--.git denied to --. fatal: unable to access 'https://github.com/--/--.git/':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에러 발생 환경

X 라는 git 아이디로 window에 가장 처음 사용자로 등록하였다.
하지만 Y 라는 사람이 git을 사용하고 repository에 업로드를 하려고 한다.
그때에 push 를 하였는데, 에러가 발생하였다.

이는 위에서도 나타나있듯이 Permission 문제이다.

 

해결해보자.

제어판 - 사용자계정 - 자격증명관리자 - window 자격증명 - git:https://github.com - 편집

을 해주자.

이렇게 본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작성하고 저장. 

이제 push를 해보면 레파지토리에 본인의 아이디로 push를 하게된다. 해결완료

이상입니다.

 

Mac 이실때 참고

 

[깃허브(Github)] 21. remote: Permission to 에러

remote: Permission to gitest01/gitest01.github.io.git denied to xxxx. fatal: unable to access 'https://github.com/yyyy/yyyy.github.io/':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remote: Permission to~~..

recoveryman.tistory.com

 

 

 

반응형

 

 

1.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
2. 이력 관리 저장소
3. 변경을 기록하는 Commit
4. Work Tree & Index

 

1.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

  ① 동시 편집 시, 발생할 수 있는 덮어쓰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 편집 내용이 충돌 시, 알림
  ② 소스코드가 변경된 이력을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③ 특정 시점에 저장된 버전과 비교하거나 특정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2. 이력 관리 저장소

비슷한 파일이라도 실제 내용 중 일부가 다르면 다른 파일로 인식
  -> 파일을 변경사항 별로 구분해 저장이 가능

① 원격 저장소 (Remote Repository)
  -> 파일이 원격 저장소 전용 서버에서 관리되며,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기 위한 저장소
② 로컬 저장소 (Local Repository)
  -> 내 PC, 개인 전용 저장소

 

3. 변경을 기록하는 Commit

① 파일 및 폴더의 추가/변경 사항을 저장소에 기록하려면 ‘Commit’을 해야한다.
시간 순으로 저장된다.

③ 각 커밋에는 영문/숫자로 이루어진 40자리 고유 이름이 붙는다.
  → 저장소에서 커밋을 구분하고 선택하는 기준이다.
④ 커밋 시, -m 옵션으로 메세지를 필수로 기입해야한다.

💡 Commit 작성팁
1번째 줄 : 커밋 내의 변경 내용을 요약
2번째 줄 : 빈 칸
3번째 줄 : 변경한 이유

 

4. Work Tree & Index

작업트리 - Work Tree 
  → Git에서 말하는 작업 폴더

② 인덱스 - Index
  → 커밋을 실행하기 전의 저장소와 작업 트리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
  → `스테이징(Staging)한다` 라고 표현하기도 함.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Git 입문~버전 관리를 완벽하게 이용해보자~ | Backlog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Git에 입문하신 것을 환영합니다. Git을 사용해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께 공부해봅시다!

backlog.com

 

반응형

 

안녕하세요 상훈입니다.

 

1. 깃 연결

$ git remote add origin "git주소입력해주세요"

 

2. 깃 연결 확인

$ git remote -v

 

2. 깃 연결 해제

$ git remote remove origin

-> origin으로 등록을 하셨으면 origin으로 작성하시고, 아니라면 해당되는 이름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사진 출처 : https://velog.io/@tataki26/GitHub-%EC%8B%9C%EC%9E%91%ED%95%98%EA%B8%B0-2

반응형

 

 

 

깃 명령어로 코드 파일들을 저장·게시 해놓으려고 했는데 push 하니까 해당 에러가 발생...

 

github url에 한줄 띄어쓰기가 되어있다고 하는 것 봐서는 정규표현식이 작용된 것으로 생각 된다.

 

구글링에도 해당 내용은 없음 /R 때문인가?

 

근데 어떻게 해야하나 ;;

 

일단 업무 먼저 하고 해당 내용 해결해야겠음.

 

 

$ git push origin master
warning: url contains a newline in its path component: https://github.com/Hoon-Hub/REACT-JS.git
/
fatal: credential url cannot be parsed: https://github.com/Hoon-Hub/REACT-JS.git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