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10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하겠다. (Mac 은 맨 아래에 링크를 첨부해놓았으니 해당 내용 확인바랍니다.)

 

지난번에 회사동료가 이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 것을 보았었다.

그때는 해결못하고 git-repository에서 다시 새로 다운로드하여 진행하였는데, 현재 새로운 노트북에서 해당 에러를 직면하게되었다.

에러 문구

Permission to --/--.git denied to --. fatal: unable to access 'https://github.com/--/--.git/':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에러 발생 환경

X 라는 git 아이디로 window에 가장 처음 사용자로 등록하였다.
하지만 Y 라는 사람이 git을 사용하고 repository에 업로드를 하려고 한다.
그때에 push 를 하였는데, 에러가 발생하였다.

이는 위에서도 나타나있듯이 Permission 문제이다.

 

해결해보자.

제어판 - 사용자계정 - 자격증명관리자 - window 자격증명 - git:https://github.com - 편집

을 해주자.

이렇게 본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작성하고 저장. 

이제 push를 해보면 레파지토리에 본인의 아이디로 push를 하게된다. 해결완료

이상입니다.

 

Mac 이실때 참고

 

[깃허브(Github)] 21. remote: Permission to 에러

remote: Permission to gitest01/gitest01.github.io.git denied to xxxx. fatal: unable to access 'https://github.com/yyyy/yyyy.github.io/':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remote: Permission to~~..

recoveryman.tistory.com

 

 

 

반응형

 

 

 

비동기 통신(AJAX, AXIOS)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오고, 해당 데이터를 2회 매개 변수로 전달해주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정순 -> 역순으로 변하였다.
그리고 데이터를 배열에 삽입 해주어야한다.

그래서 해당 데이터를 다시 정순으로 돌리려고 생각하다, 굳이 그럴 필요가 없다 느끼고, 
반복문을 이용해서 루프가 돌 때마다 배열의 앞에 넣어주도록 하였다.

 

■ 배열의 앞에 요소를 넣는 법

unshift()

예시)

ArrayData = [ ]
for(i=0; i<responseData1.length; i++){

    ArrayData.unshift(responseData1[i].ColumName)   //배열에 json타입의 값을 앞에 집어넣기
 }
console.log(ArrayData)

콘솔창 출력 내용

 

■ 배열의 뒤에 요소를 넣는 법

ArrayData = [ ]
for(i=0; i<responseData2.length; i++){    
      ArrayData.push(responseData2[i].day_total)  //배열에 json타입의 값을 뒤에 집어넣기
}   
console.log(ArrayData)

콘솔창 출력 내용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