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Kotlin
[Kotlin] 코틀린을 다시 시작해보자 - 1
SangHoonE
2025. 2. 24. 16:01

코틀린을 사용하는데에 차이점이 존재했다.
1. Array
//Java
String[] javaArray = {"1", "2", "3"};
//Kotlin : Array<String> 부분은 생략이 가능하다.
val kotlinArray: Array<String> = arrayOf("1", "2", "3");
val kotlinArray arrayOf("1", "2", "3");
문법이 너무 신기하다.
2. 배열의 사용법
//Until 끝 값을 포함하지 않는 범위를 생성 (시작값 ≤ i < 끝값).
for (i in 1 until 10) {
println(i) // Prints numbers from 1 to 9 (10 is excluded)
}
//DownTo 값을 감소시키며 반복.
for (i in 10 downTo 1) {
println(i) // Prints numbers from 10 to 1
}
//Step 반복 간격을 설정 (기본값은 1).
for (i in 1..10 step 2) {
println(i) // Prints 1, 3, 5, 7, 9
}
꽤나 많은 것들이 확장 되는 것 같다.
3. print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 JavaScript의 template literal 처럼 사용하는게 너무 신기했다.
//JavaScript
const literalWord = 'value of Literal'
console.log(`literalWord : ${literalWord}`)
//Kotlin
val literalWord: String = "value of Literal"
println("literalWord : $literalWord");
어떤가? 너무 유사해보이지 않은가??
4. when
fun getGrade (examScore: Int): Char {
return when {
examScore >= 90 -> 'A'
examScore >= 80 -> 'B'
examScore >= 70 -> 'C'
examScore >= 60 -> 'D'
else -> 'F'
}
}
val grade = getGrade(80)
println("grade: $grade") //B
JavaScript 에서 switch case 와 동일해보인다.
문법자체는 더 간결하고 깔끔하며 break; 를 걸어줄 필요가 없어서 편의성이 더 높다.
5. set
//1. mutable set : 가변
val mutableAnimalSet = mutableSetOf("Lion", "Elephant", "Dog", "1", "2", "1")
println("mutableAnimalSet: $mutableAnimalSet")
//2. immutable set : 불변
val animalSet = setOf("Lion", "Elephant", "Dog", "1", "2", "1")
println("animalSet: $animalSet")
신기했던 건 setOf, mutableSetOf 함수를 사용하면, 중복된 내용은 삭제가 된다는 것이었다.
//output
mutableMap: {key1=Lion, key2=Elephant, key3=Dog}
React.js, Next.js 등을 공부하던 와중
회사에서 인턴 직원분이 백엔드 코드를 짜고 제출하는 모습을 봤다
내용도 꽤나 괜찮았다
이에 자극받아 백엔드 쪽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Kotlin 코틀린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반응형